Research

Non-human Participation for Post-anthropocentric Design 

Hoyoung Youn focuses on creating a new design approach that goes beyond traditional human-centred design. This new approach also takes into account animals, plants, technologies, and other non-humans, aiming to balance their needs and rights with those of humans. A design approach beyond anthropocentrism will equally reflect the needs and rights of all stakeholders in the design process, enhancing sustainability, ecological balance, and social inclusion.

Hoyoung Youn loves exploring theories from different academic fields and applying them to design methodologies. He recently propos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post-anthropocentric design, which was published in the Codesign Journal.

He will apply the conceptual framework to real design contexts and further refine it. His final goal is to entice fellow design researchers to take an interest in this topic and enable designers to contribute to society and the environment through this new design approach. 

탈인간중심적 디자인을 위한 비인간 참여 

윤호영 디자이너는 인간 중심의 전통적인 디자인을 뛰어넘는 새로운 디자인 접근법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접근 방식은 동물, 식물, 기술 및 기타 비인간을 고려하여 그들의 필요와 권리를 인간과 균형 있게 고려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서는 디자인 접근법은 디자인 과정에서 모든 이해관계자의 필요와 권리를 동등하게 반영하여 지속가능성, 생태적 균형, 사회적 포용성을 향상시킵니다.

윤호영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이론을 탐구하고 이를 디자인 방법론에 적용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최근에는 포스트 인간 중심적 디자인을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Codesign 저널에 게재했습니다.

그는 이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실제 디자인 맥락에 적용하고 이를 더욱 구체화할 예정입니다. 그의 최종 목표는 동료 디자인 연구자들이 이 주제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고 디자이너들이 이 새로운 디자인 접근 방식을 통해 사회와 환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윤호영  | Hoyoung Youn 

Human-nature Interaction Design to Connect Children with Natural World 

The research focuses on human-nature interaction design, particularly fostering nature connection through play. Participation in the SSK-Generation Alpha Longitudinal Study involves collaboration with Yonsei University's Department of Child & Family researchers.


Building on this collabor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Generation Alpha's connection to nature through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findings informed the identification of design opportunities for promoting nature connection. Leveraging the knowledge gained, a playful product was designed to encourage nature engagement in this age group.


Recently,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lay product. Through data analysis, the goal is to derive design implications for human-nature interaction design, with a focus on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Generation Alpha and the natural world.

아동의 자연과의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인간-자연 상호작용 디자인 연구 

이 연구는 놀이를 통해 자연과의 연결을 촉진하는 인간-자연 상호작용 디자인에 중점을 둡니다. SSK-Generation Alpha 종단연구에 참여하며,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연구진과 협력하여 진행된 연구입니다.

협력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과 부모와의 인터뷰를 통해 Generation Alpha의 자연 연결을 탐구하는 질적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연구 결과는 자연 연결을 촉진하기 위한 디자인 기회 식별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령대에서 자연 참여를 장려하는 놀이 제품이 설계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자연 연결을 위한 놀이 제품을 디자인하여 현장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연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자연 연결 관점에서 분석하여 인간-자연 상호작용 디자인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명재영  | Jaeyoung Myung

TB healthcare Dashboard Design Proposal - Centered on Multisectoral Collaboration 

This study begins by exploring the limitations of current healthcare system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in the treatment of tuberculosis (TB), and proposes the design of a TB healthcare dashboard that goes beyond basic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B elimination efforts.

The methodology begins with a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trends in healthcare dashboard research. The initial dashboard design phase then involves collaboration with TB clinicians, design researchers, and developers. Pilot testing takes place over a 10-month period, during which healthcare workers use the dashboard in real-world TB care settings and provide feedback. This is followed by in-depth 1:1 interviews with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to further refine the dashboard's content. 

The UI of the TB healthcare dashboard will be redesigned based on the insights gathered. Finally, the study will hold a workshop with UX/UI designers to discuss and finalize the UI design to ensure that it meets both user and health system requirements. The study aims to foster collaboration between the medical and design fields to positively impact TB treatment outcomes. 

결핵 의료 대시보드 디자인 제안 - 다분야 협력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결핵(TB) 치료에 있어 현재의 의료 시스템과 전자의무기록(EMR)의 한계를 탐구하는 것을 시작으로, 결핵 퇴치 노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환자-의료진 간 커뮤니케이션을 넘어서는 결핵 의료 대시보드의 디자인을 제안합니다.


방법론은 의료 대시보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 검토로 시작됩니다. 그 후 초기 대시보드 디자인 단계에서는 결핵 의료진, 디자인 연구자 및 개발자와의 협업이 이루어집니다. 파일럿 테스트 단계는 10개월에 걸쳐 진행되며, 이 기간 동안 의료진이 실제 결핵 진료 현장에서 대시보드를 사용하고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이후 환자와 의료진과의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대시보드의 콘텐츠와 디자인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습니다. 


결핵 의료 대시보드의 UI는 연구를 통해 수집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새롭게 디자인될 예정입니다. 사용자 및 의료 시스템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UX/UI 디자이너와 함께 워크숍을 개최하여 UI 디자인을 논의하고 최종 확정할 것입니다. 이 연구는 의료와 디자인 분야 간의 협업을 촉진하여 결핵 치료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성서진  | Seojin Sung 

Participatory Design Tools to Enhance Gen Alpha’s Nature Connec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tools that designers use during the design process. When designing, people from various fields come together to share their opinions and work towards better outcomes. The aim is to explore the methods that can be used during these collaborative stages.

A recent study explored ways to consider the perspectives of non-human actors during product design. Specifically, the goal was to improve products that incorporate natural elements for the Alpha generation. To achieve this, a workshop was conducted where personas and empathy maps were crea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Alpha generation and non-human actors. This approach aimed to examine the potential of participatory design tools that take non-human actors into account.

Participants included primary caregivers(pare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nvironmental educators. The discussions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analyzed to compile the research results. Findings indicate that this method effectively reduces human-centric views and enhances empathy towards natural entities. This approach provides designers with opportunities to consider non-human actors in the design process, offering valuable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sustainability and more. 

알파세대의 자연연결감 증진을 위한 참여적 디자인 도구 연구

디자인을 할 때에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의견을 나누며, 더 나은 방향의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거칩니다. 그 과정에서 디자이너가 사용할 수 있는 도구와 방법들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진행했던 연구에서는 제품의 디자인 과정에서 인간이 아닌 다른 개체의 입장도 함께 고려해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알파세대의 자연물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놀이 제품의 개선을 목표로 제품의 이해관계자로 선택된 알파세대와 비인간 개체의 입장에서 페르소나와 공감지도를 함께 작성해보는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비인간을 고려한 참여적 디자인 도구로써의 가능성을 살펴보았습니다.


본 워크숍에는 주양육자, 초등교사, 환경교육자들이 함께해주었고, 알파세대와 단풍나무 두 그룹으로 나누어 페르소나와 공감지도를 작성한 것을 바탕으로 제품의 개선안을 논의하였습니다. 전 과정에서 참가자들이 나눈 대화와 비구조화 인터뷰를 분석하여 연구의 결과로 정리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해당 방법은 인간 중심의 관점은 줄이고, 자연 대상과의 공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습니다. 이는 향후 지속가능성을 의식해야하는 디자이너들에게 디자인 과정에서 비인간과의 공감과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남진서  | Jinseo Nam

Improving Inner Mongolia's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Reside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rises and challenges facing the Inner Mongolia region and the Mongolian people, with a particular focus on environmental issues. Previous studies and case analyses have shown that despite significant efforts by the government, research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many environmental protection projects are led predominantly by experts and government officials. 

This leadership dynamic often results i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problems due to differing 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ty positions. Local residents, although involved as stakeholders, often have ill-defined roles, division of labor, and channels for knowledge transfer, leading to suboptimal project outcomes. Recognizing the Mongolian people's deep generational connection to the grasslands and their intrins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research aims to reorient project frameworks to better integrate local perspectives. 

The next phase will focus on developing methodologies to effectively incorporate local residents' insights and practices into environmental protection initiatives, aiming for more sustainable and culturally attuned outcomes. 


지역 주민의 시각에서 내몽골 환경 문제 개선하기 

해당 연구에서는 환경 문제를 중심으로 내몽골 지역과 몽골 국민이 직면한 위기와 도전을 검토합니다. 기존 연구와 사례 분석에 따르면, 정부, 연구기관 및 연구자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경보호 사업들이 주로 전문가와 정부 관계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리더십의 역동성은 종종 다른 문화적 배경과 정체성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과 협력의 문제를 초래합니다. 지역 주민들은 이해관계자로 참여하지만, 종종 역할, 일의 분담, 지식 전달 경로 등이 명확하지 않아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 연구는 몽골 국민들의 초원에 대한 깊은 세대적 관계와 환경보호에 대한 그들의 내재적 이해를 인식하고, 지역의 관점을 더 잘 통합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의 방향 전환을 목표로 합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지속가능성과 문화의 조화가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지역 주민들의 통찰력과 실천을 환경보호 활동에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XUE CHENHONG 

Design Justice Beyond Human-centered Design 

'Design justice' research is important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design reproduces social inequality.

Especially in the posthumanist era, we need to move beyond human-centered design to design that embraces the non-humans that design has marginalized.


We need to consider non-human stakeholders and design for sustainable future societies where humans, nature, and artifacts interact. We study how to realize design justice by considering non-human stakeholders and involving them in the design process.


To that end, sustainable design justice is about community-centered design, including non-humans.

인간중심 디자인 너머의 디자인 정의 연구 

디자인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한다는 비판적 관점에서 '디자인 정의' 연구는 중요합니다. 특히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인간중심 디자인에서 나아가 그간 디자인이 소외시킨 비인간도 포용하는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인간, 자연, 인공물 등이 상호작용하는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위해 비인간 이해관계자들을 배려하고 디자인 과정에 참여시킴으로써 디자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합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디자인 정의는 비인간까지 포함한 공동체 중심주의 디자인을 지향합니다


황찬수  | Chansoo Hwang 

Service Design for Generation Alpha 

His research focuses on the intersection of education, service design, and sustainability towards Generation Alpha. Using tools and concepts such as augmented reality or gamification, the aim is to develop solutions that cater to their unique experience of constantly being surrounded by technology. As he is still in the midst of establishing his research topic, he is constantly seeking new avenues to apply design thinking and understanding the gaps within the current design field.

알파세대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본 연구는 교육, 서비스 디자인, 지속 가능성의 교차점에서 Generation Alpha를 대상으로 합니다. 증강 현실이나 게이미피케이션과 같은 도구와 개념을 활용하여, 기술에 항상 둘러싸여 있는 아이들의 독특한 경험에 맞춘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를 구체화하고 확립해가는 과정에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고 현재 디자인 분야의 격차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습니다.

김호중  | Eric C.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