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proposed new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r developing new community business and had workshop to prove it working well."
• Research purpose
친환경 급식센터 이후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비지니스 모델 필요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지속가능하고 자립성 있는 모델 필요
울산 북구 내 지역농산물 소비로 지역경제와 일자리 창출 필요
지역생산자와 소비자 간 공동체 의식 및 유대감 강화 필요.즉, 서비스 디자인을 활용한 마을 기업 교육 프로그램 개발, 북구에 실현 가능한 로컬 푸드 사업모델 개발
• Research characteristic
지역 자원 연구 : 문헌연구, 이해관계자 심층 인터뷰, 생산자/소비사 설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이해관계자 co-creation 워크숍
사업모델 제안
• Research conclusion
1. 지역 자원 연구 : 인력 부족 문제로 직거래 장터에서 직접 판매가 쉽지 않음, 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의식이 부족함, 친환경 농산물 직판장을 통해 로컬푸드 브랜드구축, 농촌 체험 콘텐츠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함.
2.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최종성과
Research team: 김혜영, 박남식, 강래성, 김가이, 김수린, 김바다, 김준태, 김홍민, 이가은, 신기용, 신슬이, 배웅재
partner : 울산 북구청
Support : 울산 북구청
Tag : #Social #Localfood #Co-relation #Village enterprise